보도자료
작성자 : 제주탄소중립지원센터
| 제주도, 13일 '산림정책 대전환' 워크숍 개최
| '2035 탄소중립 선도 도시 조성계획안' 발표도
| 온난화 구상나무 멸종위기·해수면 변화 잇따라
| 권역 구분 전략 수립…산림 부문 사업도 지속
제주지역 기후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 이에 제주도는 다양한 환경 분야 정책을 통한 '탄소중립'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제주도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탄소연구센터는 13일 제주문학관 대강당에서 '탄소중립 선도 도시 제주, 산림정책의 대전환'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를 통해 기후 위기 시대에 제주 산림의 기후 대응 잠재력과 기존정책과의 연계를 재정립하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제주의 산림정책 방향과 실천 전략을 모색한다.
이날 강진영 제주탄소중립지원센터장의 '2035 제주 탄소중립 선도 도시 조성계획(안)'에 따르면 제주는 온난화로 인한 한라산 구상나무가 멸종위기에 처했고 급격한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실제 2021년 구상나무 분포면적은 2006년 대비 약 24% 감소했다. 최근 10년간(2013~2022년)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의 경우 5.11㎜로 지난 34년간(1989~2022년) 2.90㎜ 대비 약 1.8배 높은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제주시의 경우 용머리해안 출입 통제가 잦아졌으며 서귀포시는 해안도로 침식이 잇따르고 있다. 제주가 기후 위기의 최전선에 있는 셈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는 2035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2030년까지 53%의 탄소를 감축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세부적으로 도심과 동부, 서부지역을 '순환' '전환' '확산' 권역으로 구분했다. 도심은 '기후복지를 위한 실천·확산 권역', 동부는 '미래 혁신 위한 전환 권역', 서부는 '바이오e 순환 권역' 등이다.
우선 서부지역의 경우 유기성 폐자원과 바이오에너지의 순환을 통해 가축분뇨 공공 처리 및 자원화를 꾀한다.
또한 동부지역은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로의 전환을 핵심 전략으로 재생에너지 기반 그린수소 생산기지 구축, 광역폐기물 소각시설 설치 등이 제시됐다.
아울러 도심은 에너지 저감 실천과 청정에너지 소비 확산으로 지속 가능한 녹색 도시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산림 부문 주요 사업으로 △제주 자생 세미 맹그로브 숲 조성 △곶자왈 보호 △기후변화대응 공익조림 △도시 숲 등 생활권 숲 조성 사업 △도시공원 도시녹화 사업 등을 추진한다.
이에 대해 강진영 센터장은 "청정 자연과 특유의 생태계는 제주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필수적"이라며 "도시숲과 도시공원 등 도심내 흡수원 조성과 더불어 생태 축 복원 등 경관자원 보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워크숍은 '탄소중립 워크숍'이라는 취지에 맞게 행사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자체 산정한 후 산림탄소 크레딧을 구매해 100% 상쇄할 계획이다.
양경익 기자 yki@jemin.com
출처 : 제민일보(https://www.jemin.com)
☞ https://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21681
